G suite는 조직(팀, 교육기관)에 속해 있는 안드로이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교육기관에서는 교실이나 학교에서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수 많은 태블릿(안드로이드 계열)을 관리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담당 교사 혼자서 하기에는 무리입니다.
다행히 G suite for Education을 사용중인 학교라면 다음의 세팅을 통해 안드로이드 기기를 조직안에 포함시킨 후 안드로이드 기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먼저 G suite fot Education 관리 콘솔에 접속합니다.
사용자에서 관리가 필요한 기기계정을 만들고 기기용 그룹으로 만들어서 해당 계정을 기기그룹(조직)에 포함시킵니다. G suite에서는 조직별로 안드로이드 기기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기기만 따로 계정을 만들고 그룹으로 묶어 두는 게 좋습니다.
그 다음 관리 콘솔에서 [보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보안페이지에서 하단의 [자세히]를 클릭합니다.
보안페이지에서 [Android용 EMM 공급자 관리]를 클릭한후 EMM공급자 관리를 활성화합니다.
(혹시 안드로이드 관리설정을 하기 전에 크롬북에서 구글Play 스토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하신 학교가 있다면 해당 설정을 취소하고 먼저 안드로이드 관리기능을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크롬북에서 구글 Play 스토어를 사용하도록 설정을 해놓은 경우에는 Android용 EMM공급자 관리가 활성화가 안됐습니다. )
다음으로 [기기 관리] 페이지에 접속하여 [설정]에 접속합니다.
설정 페이지에서 [Android 앱 관리]를 클릭하여 G suite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활성합니다.
앞에서 이야기 했던 내용입니다. G suite에서는 조직별로 안드로이드기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기기가 있는 그룹만 직장 프로필을 시행하고 나머지 조직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직장 프로필에서 참여할지 안할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은 조직 전체는 Android 기기 관리를 사용자가 선택해서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하지만 태블릿 계정이 있는 조직은 직장 프로필을 시행이 되도록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업무용 프로필 값을 바꾸기 전에 조직을 먼저 선택한 후 프로필을 설정하면 됩니다. 그래서 저희 학교는 태블릿 조직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조직은 사용자 선택으로 두었습니다.
G suite에서 안드로이드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초기 설정을 완료했습니다. 그런 다음은 안드로이드 기기에 G suite 계정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업무용 프로필에 참석하거나 설정에 따라서는 사용자 선택을 묻는 창이 나옵니다.
로그인이 성공하면 직장 프로필을 설정합니다.
G suite에서 안드로이드 기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기 정책] 앱이 안드로이드에 추가됩니다. 안드로이드 기기에 [기기정책] 앱이 생성되고 [기기정책]은 G suite 관리자가 기기를 승인해 줄 때까지 대기합니다.
관리자 콘솔 [기기 관리]에서 해당 기기를 승인합니다.
승인이 완료된 기기에는 아래와 같이 업무용 폴더와 관련 앱이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플레이 스토어 접속하면 조직에서 제공하는 업무용 앱 위주로 검색이 됩니다.
그럼 안드로이드 기기용 앱을 관리하는 페이지에서 학교 환경에 맞는 앱이 설치되록 설정합니다.
[기기 관리] – [앱 관리] 페이지로 접속합니다.
수업에서 사용하기 위해 앱을 강제로 미리 설치하기 위해서 설치할 앱을 검색합니다.
검색한 앱을 추가되도록 승인합니다.
앱이 업데이트 될 때도 계속 유지할지를 묻는 설정에서는 관리 목적에 맞춰 알맞게 설정합니다.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되길 원하면 앱의 승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하면 됩니다.
모든 기기에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설정합니다.
G suite에서 [앱 관리]로 관리가 필요한 앱을 설정하면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자동으로 해당 앱이 설치됩니다.
필요한 경우 [기기 관리]-[Android 설정]에서 추가적인 기기 관리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Play스토어 앱만 설치가 되도록 하고 개발자 옵션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과정을 친절하게 이해가 가기 쉽게 정리해 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같은 과정을 거쳤는데, 저는 디바이스의 프로필 설정 부분에서 멈춰 있네요.
혹시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요? 아니면 오래 걸리는 걸까요?
그리고 관리자 콘솔에서 기기 관리에서 디바이스 승인을 해 주어야만 하는 건가요?
저희 반 학생들이 개인 스마트폰에 G suite 계정을 연결해서 쓸 때가 있는데, 그 때는 별도로 승인을 해 주지 않았거든요.
혹시 크롬북에서 안드로이드 앱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정하게 되면 안드로이드 기기 승인관리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안드로이드 공급자 관리 설정을 한 후에 필요하면 크롬북에서 안드로이드 앱 사용 설정을 해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관리자 콘솔에서 디바이스 승인을 하고 기기정책이 설치가 되어야 디바이스 관리가 됩니다.
사용자에서 관리가 필요한 기기계정을 만들고 기기용 그룹으로 만들어서 해당 계정을 기기그룹(조직)에 포함시킵니다. –> 이게 무슨말인가요? ㅠㅠ 학생들 계정 말고 태블릿용 계정을 따로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인가요?
1. 태블릿 계정을 모아둘 태블릿 그룹을 먼저 생성합니다.
2. 태블릿 그룹에서 태블릿 계정을 생성합니다.
3. 태블릿 그룹 권한 조정하여 태블릿을 관리합니다.
말을 어렵게 작성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유료 앱을 구매해서 설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유료앱은 Gsuite 조직관리 앱으로 구성할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크롬북이 아닌 태블릿도 G suite으로 기기관리가 가능할까요?
네 Gsuite Education에서도 안드로이드 기기 관리가 가능합니다만 기업용만큼 강력한 관리는 안됩니다.
선생님 쌩초자인데 갤럭시 태블릿10대를 공유하신 방법으로 관리에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1. 이 관리방법은 무료인가요?
2. 생성이 이미된 계정을 그룹에 넣으면 사용할 수 없나요?
3. 태블릿에 구글계정 등록 전에 그룹생성을 먼저해야 이방법을 쓸 수 있나요? 이미 계정등록 후에는 사용할 수 가 없나요?
이글을 보실런지 모르겠습니다만…..그리고 적는 저도 무슨 말인지 좀 혼란스럽지만 보신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네 이방법은 구글 gsuite에서 제공해주는 기본 방법입니다만 온전한 기능을 사용하려면 유료 버전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gsuite에서 태블릿 계정들을 한 조직(그룹)으로 묶은 후 해당 그룹의 모바일 장치들을 조직 계정으로 관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존의 계정들도 그룹으로 묶어주기만 하면 사용 가능합니다.